top of page

Newspaper

1967년 말 서울 중앙공보관에서는 희한한 볼거리가 벌어졌다.
우산을 쓰고 앉은 여성의 주위를 촛불을 손에 든 청년들이 빙빙 돌면서 '새야 새야 파랑새야'를 부르다가 우산을 찢은 '비닐우산과 촛불이 있는 해프닝'은 다양한 해석을 불렀다. 오광수씨가 기획하고 청년 미술작가들이 참여한 이날의 행위는 한국 최초의 '행위예술', 일명 '퍼포먼스'로 기록된다.
이듬해 봄 홍대 미대를 나온 작가 정강자가 주축이 됐던 '투명풍선과 누드'는 논란을 더 키웠다. 삼엄하던 군부독재시절 음악다방에서 토플리스 차림인 정강자의 몸에 풍선을 붙인 이 퍼포먼스는 '퇴폐', '불온' 등의 수식어를 달고 엄청난 파장을 일으켰다.
상당기간 '해프닝'이라고 불렸던 우리나라 행위예술은 숱한 스타작가와 에피소드를 낳았다.
지난해 타계한 백남준은 빼놓을 수 없는 작가다. 예술적 동지였던 요제프 보이스가 사망하자 1990년 보이스의 펠트모자와 한국의 갓을 함께 태우며 펼쳤던 추모굿을 비롯해 바이올린에 줄을 매달아 끌고 다니거나 피아노를 뒤집어엎고, 넥타이를 자르고, 샬럿 무어먼의 몸을 첼로삼아 펼친 퍼포먼스는 백남준을 괴짜 예술가로 각인시켰다.
1990년대에는 여성작가 이불(43)이 누드 퍼포먼스로 시선을 끌었다. 썩어가는 생선에 반짝이를 붙여 뉴욕현대미술관(MoMA)에 펼쳐놓았던 퍼포먼스는 그를 세계무대에 알리는데 기여하기도 했다.
국립현대미술관이 한국에서 행위예술이 시작된 지 40년이 된 것을 기념해 24일 시작하는 전시 '한국의 행위예술 40년 1967-2007'은 회화나 조각 등 전시가 끝나도 작품이 남는 다른 시각예술 분야와 달리 기록으로만 존재해온 행위 예술의 역사를 정리하기 위한 전시다.
시기를 ▲1967-1979년 '해프닝에서 이벤트로' 넘어가는 시기(강국진, 김구림, 김순기, 성능경, 이강소, 이건용, 이승택, 정강자, 제4집단) ▲1980-1993년 '행동의 드라마' 시기(김용문, 신영성, 윤진섭, 이불, 이상현, 하용석) ▲1994년부터 현재까지 '행위-변주'의 시기(김아타, 박이창식, 조습, 박혜성, 고승욱, 이윰, 낸시랭, 황신혜밴드)로 구분했다.
주로 작가들이 소장하던 사진자료와 관련 보도내용 등을 소개한다.

한국행위예술 1967년부터 2007년까지

연합뉴스  2007.08.20

KUKJIN KAN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