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Newspaper

해프닝은 이동하는 악상브라즈다. 거기에선 관객은 자연 또는 인공적 환경과 상호 작용하여 때로는 그들의 자유를 주장하고, 때로는 리더에 따라 행동하기도 한다. 해프닝은 생활이며 그 자체가 예술작품에 변형 되어진 것이다.  – 앨런 카프로

미국의 추상표현주의 작가인 잭슨 폴록의 작품에서 해프닝의 논리적인 원류를 엿볼 수 있다. 그는 “제작행위 중에는 어떤 상태에 있는 것을 잊어버린다”고 할 정도로 작품을 의식하지 않았다. 다만 캔버스와 인간의 행위에서 얻어지는 우연한 충돌점에서 잠재된 본능의 생생한 족적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이다. 여기에서 자작의 완성이 아니라 제작의 상태 즉 행위자체를 중요시한 것이 해프닝인 것이다.
해프닝이라는 단어가 처음 미학적으로 쓰이게 된 것은 1959년 미국의 앨런 카프로의 ‘여섯 파트로 나누어지는 18의 해프닝’(뉴욕∙루벤스 화랑)에서였으며 ‘시각예술과 연극의 환경적 통합’(L∙리파르)이라고 불리는 표현형식으로서 미술, 음악, 연극 등의 세계에서 사용되며, 바로 이 세 장르를 포함한 미적 사건을 의미한다. 또한 해프닝의 특징은 화가 일개인의 제작의 연장일 뿐 아니라 환경의 조성 즉 관객과의 제휴에서 찾아지기도 한다. 화가들의 캔버스에서의 도주곡이자 환경을 창조하는 대중과의 접근점이 다름아닌 해프닝을 실현되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보는 사람을 육체적, 심리적 충동으로서 포함시키는 행위라고 할 수 있고, 회화가 삼차원으로 이행하는 최종의 단계라고 볼 수 있겠다.
한국에서 해프닝이 실현된 것은 (1967년 12월 11일-16일) 중앙공보관 화랑에서 개최되었던 ‘한국 청년작가연립전’ 에서였다.
이 당시 연립전에는 우리화단의 쇄신과 새로운 시대미학의 구현을 주장하고 나선 홍대 졸업생들을 주축으로 한 ‘무’ 동인 (13회졸) ‘오리진’(14회졸) ‘신전’ 동인(15, 17회졸)의 세 그룹이 같은 이념 속에서 각기 특성 있는 양식을 표방하고 나섰었다.
전시회의 첫날은 우리네의 현실에 대한 고발로서 ‘행동하는 화가’, ’추상 이후의 작품’, ‘4억 원의 도박 국립종합미술관’, ‘현대미술관이 없는 한국’, ‘국가발전은 적극적인 예술의 진흥책에서’, ‘보십시오, 무료입장’등을 표방하고서 일단의 가두 데먼스트레이션을 가졌었다.

전창승, 한국의 해프닝

홍대학보  1969.12.01

KUKJIN KAN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