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Newspaper

<캔버스 떠나 액션페인팅 추구>, 서울신문, 1968.5.9

요즘 구미에서 큰 「붐」을 일으키고 있는 이른바 「해프닝」이란 것이 지난 2일 한국예술의 전위를 자부하는 한국청년작가연립전「멤버」들에 의해 전개되었다. 「행동하는 화가」의 「슬로건」을 내걸고 「캔버스」를 탈피한 「액션페인팅」을 추구하는 젊은이들. 그들에게는 어떤 시간과 공간 가운데서 일어나는 사건의 행위 하나 하나가 곧 예술이라는 것.
이 날 강국진 정찬승 정강자 심선희 최붕현 등 5명의 청년작가 연립전「멤버」들이 펼친 「해프닝」은 『화투놀이』와 『색비닐의 향연』― 두 「파트」로 나뉘어 전개되었다.
「테이블」을 가운데두고 4사람이 마주 앉는다. 소리없는 가운데 가위 바위 보. 진 사람이 화투를 사 온다. 침묵속에서 「게임」이 진행된다.
진 사람이 이번엔 물 한 「바께쓰」를 떠 온다. 또 다시 두 번째 「게임」. 무언극을 보는 듯 하다. 이번에 진 사람은 떠다 놓은 「바께쓰」물 속에 텀벙 머리를 담근다. 나머지 사람들이 기성을 지르며 소란을 피우는 가운데 음악이 뚝 그치면서 「라이트」가 꺼진다.
30초 후 다시 불이 켜졌을 때, 무대 위의 사람들은 모두 사라지고, 빈 「테이블」위를 조명만이 비치고 있다.
「해프닝」이란 우연히 일어난 사건을 지칭하는 말이나 58년께 미국의 「알란 카플로」에 의해 장르 추진되었던 「시각예술과 연극의 환경적 통합」이라 불리는 표현형식으로서 미술, 음악, 연극의 세계에서 사용되며 바로 이 세 「장르」를 포함하는 일종의 미적 사건이다.
이 말이 처음으로 사용된 것은 1959년 「알란카플로」의 『여섯「파트」로 나누어지는 18의「해프닝」』에서부터였다.
(「뉴요크」「루벤스」화랑에서) 「액션페인팅」의 행위 자체를 중요시하고, 표현된 결과 보다는 표현의 과정 ― 그 행위의 지속을 찬양하고, 그 자체를 하나의 표현 행위라고 주장하는 것이 「해프닝」이다.
「해프닝」은 현실의 시간 공간의 테두리속에서 「시나리오」의 간략한 지정에 따라 행위를 한 번에 그쳐야 한다는 것이 특징.
이 표현 형식은 실험을 즐기는 구미 전위작가들의 큰 관심거리로 미국을 비롯한 영국, 「프랑스」, 일본 등 각지에서 다양하게 연출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작년 12월 청년작가 연립전「멤버」들에 의해 최초로 시도 된 이후 이번에 두 번째였다. 앞으로 그들은 넓은 무대에서 본격적으로 전개해 볼 계획이라고.

캔버스 떠나 액션, 페인팅 추구

서울신문  1968.05.09

KUKJIN KAN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