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Newspaper

<현대미술의 새로운 전환>, 일요신문, 1967.12.17

한국청년작가 연립전을 보고
우리 미술계의 20대 청년화가, 조각가 17명이 모인 한국청년작가 연립전은 침체됐던 미술계에 활기를 불어넣었다는 점에서 67년도 최대 수확의 하나라 할 수 있다. 그 동안 이들은 우리나라의 전위미술운동에 여러 기회를 통해 제나름대로 참여해오면서 30대의 추상미술의 그늘에서 눈치를 보면서 20대 대로의 새로운 미학을 발견하려고 애써왔던 것이다.
이제 뚜껑을 연 이들의 작품상의 성과는 어떠한가. 그들이 원하는 바 한국 현대미술계의 전위를 형성할 이만큼 정말 실력의 뒷받침이 되어있는 것일까.
제1실을 차지한 〈오리진〉동인들은 서로 약속이나 한 듯이 모두가 「포프」와「오프」일색. 마치 도안「디자인」처럼 보이게 하는 이승조의 것은 화가의 「탐페라망」이 안 보이고, 반대로 서승원의 것은 그것이 너무 두드러져 의욕은 엿보이나 좀 허전하다. 그리고 상식적인 구성에 그친 감이 있는 신기옥과 김수익은 최명영의 「다다」적인 바탕과는 대조를 이룬다.
화면구성의 시각적 조건이 내면적인 논리의 뒷받침이 되질 않아 한결같이 피상적이라는 결함은 있으나, 이처럼 전날의 추상을 탈피한데에 대해서는 그 노력과 의의를 높이 사지 않을 수 없다.
제2실의 <무동인>들은 반 회화의 앞장을 섰던 작년의 거사에 이어 이번에도 가장 중핵적인 「볼륨」을 이루고 있다. 최붕현의 <색연통>은 장내의 압권이며, 김영자의 <연탄>과는 서로 공통적인 데가 있다. 이태현의 것은 충격적이며, 임단의 것 역시 허무한 공백으로 쌓여있다. 문복철에게는 그 앞날을 기대하고 싶을 뿐이다.
이러한 <오브제> 제조의 환경미술을 따라 제3실의 <신전동인>들은 아기자기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정찬승은 태극과 엽전「오브제」조작으로, 강국진은 병조각과 「플래스틱」이용으로, 여류인 심선희와 정강자는 각기 「오브제」조각으로 「아이러니컬」한 뜻을 풍기고 있고, 김인환은 도안그림만 가지고 이들과 비기고 있다. (방근택)

현대미술의 새로운 전환

일요신문 1967.12.17

KUKJIN KAN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