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Newspaper

◇67.12.11-16 한국 청년작가 연립전(중앙공보관) 동 전시 기간중 나흘째인 14일 「무동인」 「신전동인」에 의해 〈비닐우산과 촛불이 있는 해프닝〉이 시현
◇68. 5. 2 〈화투놀이〉〈색비닐의 향연〉 (세시봉 음악감상실)
◇68. 5. 30 〈투명풍선과 누드〉 (세시봉 음악감상실)
◇68. 10. 17 〈현실사회의 문화적 모순을 고발하는 데몬스트레이션〉 (제2한강교 밑)

〈비닐우산과 촛불이 있는 해프닝〉 1967. 12. 11- 16
그후 무동인실(제2전시실, 12월 14일 오후4시)에서 무동인과 신전동인의 두 그룹에 의해서 「비닐우산과 촛불이 있는 해프닝」(미술평론가 오광수씨 각본)이 처음으로 시현되었다.
이 작품은 여자 2명 남자 8명의 도합 10명이 비닐우산 1개, 새끼줄들, 촛불 10개, 성냥 1통, 의자 1개, 그리고 합창등으로서 이루어지는 작품으로서 가운데에 비닐우산을 들고 의자에 앉아있는 한 여인을 중심으로 새야새야 파랑새야 라는 노래를 합창하면서 서너번 돈 다음 각자가 촛불을 켜들고 관중들과 함께 돌면서 여자가 핀 비닐우산에 촛불을 꽂으면 비닐우산을 든 여자도 함께 다시 도는 것이 계속되다가 비닐우산을 의자에 비끌어매고 촛불을 끈뒤 발기발기 비닐을 뜯어내고 우산을 내동댕이치면 소리를 지르며 여럿이 짓밟는 것으로 끝난다.
이 작품의 의도는 우산과 촛불이라는 상극된 두 물질의 우연한 행위의 충돌에서 잠재된 드라마성을 표출하려는 것으로서 기계문명의 냉혹한 잔재를 일종의 시니시즘(냉소주의)으로서 행위를 통해 이동하는 「꼬라쥬」를 예기(예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색비닐의 향연〉 1968. 5. 2
「색비닐의 향연」(강국진,정찬승 구성)의 템포라이트 뮤직이 흘러나오고 갑자기 주위가 소란해지면 화투들을 발작적으로 소리를 지르면서 내던지고 한사람씩 바켓스에 머리를 쳐박는다. 음악이 정지되고 조명이 꺼진동안 사람들은 없어지고 30초후에 조명이 빈무대를 비추어 지는 것으로 끝난다.
우리네 일상의 여가속의 사건을 가지고, 현대인의 억압된 욕망과 권태를 표현하려는 의도였다. 「색비닐의 향연」은 참가자 7명, 바께스 1통과 물, 화학색소 8병, 길이 3m 지름 3㎝정도의 비닐호수 6개등을 가지고, 가운데의 한 여자를 중심으로 하여 둘러서서 원무를 하면서 각자가 비닐에 물을 담아서 색소를 넣어 물이 새지않게 봉한다음, 가운데 여자를 중심으로 하여 색비닐을 쥐어준다음, 각자가 붙들고 가운데여자와 둥글게 서있는 사람들과 섰다 앉았다 하며, 색의율동이 시작되다가 가열되가면서 비닐들이 터지고 색소물이 사방으로 튕겨나가는 것으로 끝이난다.
이것은 비닐과 연관이 깊은 물과의 관계속에 각양각색의 색소를 첨가하여 율동의 아름다운 조화와 파괴가 부딪힘으로써 오는 새로운 미의 현상이라 할 수 있다.

〈투명풍선과 누드〉 1968. 5. 30
제3회 해프닝은 세시봉 음악감상실(1968. 5. 30. 오후 6시 - 9시)에서 였다. 이때에는 「현대미술은 어떻게 감상하여야 하나」(미술평론가 유준상씨 강연)를 주제로하여 관중과의 세미나를 가졌고「환경예술의 공동실현」이라는 표제하에「투명풍선과 누드」를 발표했다.
이작품은 풍선(15개 지름 60㎝가량), 의자 1개 여자 2명, 남자 2명, 조명기 1대와 10개의 색조명기, 존 케이지 풍의 전자음악, 투명풍선용 주브 200개와 빨대기 300개, 면도칼 1개, 등을 가지고, 음악과 조명이 비치는 가운데 면도칼에 의해서 점차로 벗겨져서 벌거볏겨진 여인의 몸에 출연자들과 관중들이 풍선을 불어서 자유롭게 붙여가다가 작품이 거의 이루어졌을 때 풍선을 눌러 꺼뜨리는 행위이다.
이것은 인간의 누드와 화학물질과 빛등의 어울림과 진행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미의 현상을 발견하려는 의도였다.

< 한강변의 타살> 1968. 10. 17
제4회 해프닝(1968. 10. 17 오후 4시)은 강국진, 정강자 그리고 정찬승 3명에 의해서 제2한강교 밑 100m지점에서 실연됐다.
여기에 바께쓰 3통, 삽 3자루, 물권총 9개, 색비닐(빨강, 파랑, 노랑) 3㎝짜리 3장, 휘발유 1되, 흰 페인트 1통, 연필 2다스, 종이 30장 등을 가지고 2개 간격에 각자가 자기가 들어갈 만큼 구덩이를 파고, 색비닐을 목에 감고, 목만 내놓고 묻힌 다음 관중들에게서 물권총의 세례를 받고난 후, 땅에서 나와 비닐을 몸의 앞뒤에 걸치고, 고발장을 쓰게하고 우리들의 고발장(문화사기꾼, 문화실명자, 문화기피자, 문화부정축재자, 문화보따리장수, 문화곡예사)을 몸에 늘어뜨린 비닐에 서로쓴 다음, 비닐과 관중들의 고발장들을 낭독하면서 태워버리고 매장시키는 행위이다.
이 헤프닝은 우리네 현실사회의 고질화되어가는 문화적 모순을 고발하는 데몬스트레이션이었다. 

해프닝일지

신문이름미상 1967.12.11

KUKJIN KAN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