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Kang involved in a new group called ‘Shin Jun’(New Exhibition) consisting of Kukjin Kang, Inhwan Kim, Chanseung Jung, Sunhee Shim, Duksoo Yang and Kangja Jung, as well as participated in ‘Chungnyun jakka yeunlipjun’ with group ‘Mu’ (Zero) (art group of 63rd graduates from Hongik University consisting of Youngja Kim, Bokchul Mun, Taehyun Lee, Boonghyun Choi, Dan Lim or Myungjin Lim and Iksang Jin) and group ‘Origin’ (art graduate class of 64th from Hongik University, consisting of Sooik Kim, Seungwon Seo, Kiok Shin, Sangrak Lee, Seungjo Lee, Changhong Choi, Jongsub Ham etc.) Also, the seminar for the particular exhibition was carried out by Il Lee, Hoon Kim and Myungjin Lim under the title “Trend and movement after the world of Abstract art”, and happening performance Vinyl umbrella and candle was performed. This endeavor wasn’t recognized at the time to be a historic breakthrough, although it was more than worthy for it due to its suggestion of future paths of Korean art world which concentrated on Abstract Expressionism to receive ‘avant-garde’, even in the late 60s.
Kukjin Kang’s ‘Chungnyun jakka yeunlipjun’ (Exhibition of young artist’s union) installation featured several works: a number of glass bottles stacked on each other, overall named The joy of Vision; another piece was The Vision of today, a glass bottle hung with a string from ceiling; and Just Today for which he had a vinyl tube with an eye figure attached to it and another later of vinyl tube with 2 rubber balls. Such readymade composition-the product of modern civilization and industrial systems-was to portray our way of seeing, protean visual features, which concurrently had optimistic, delightful vision and sensitivity.
Kang performed Vinyl Tube spouting out watercolor on the opening day of the exhibition (11 December). The performance consisted of repertoire of dissipating colored water by bursting an elongated vinyl tube in which another watercolor tube was inserted. The flashy moment of dissipation meant emancipation from repression and discovery of the outcome of dissipation of colors and the visual beauty of it previously veiled behind mere contingency.
In January 1968, Kang presented the country’s yet another first: The Vision I, II in ‘Jonghap Misool Daejun’ (Total Art Exhibition). It was first in the sense that no one had ever tried such technology art as his. It featured powerful red and blue fluorescent lights forming a hexahedron the work manifested our world moving into a new era, enabling people to experience unprecedented visual scenes. In May that year, Kang and Chanseung Jung jointly introduced technology art for the first time in the country, named at the exhibition of ‘Jonghap Misool Daejun’, and performed Feast of color vinyl. In June, he performed Transparent balloon and Nude Happening and Hwatoo game at ‘C’est si bon’ music Hall, an independent music hall in Seoul, and four months later in October, Kang both organized and participated in Murder at the Han-riverside performance for which Kang himself as well as Kangja Jung and Chanseung Jung not only expressed their criticism of the established civilization and reality.

After ‘Chungnyun jakka yeunlipjun’ (1967), Kang, Chanseung Jung and Kangja Jung from ‘Shin Jun’ group carried out more happenings and performance art. But Kang also provided a workplace called “Space Designer” with Jongmu Park in Myung dong where they also ran cafe, the interior design of it and shop windows for 4 years before moving to Hapjung dong. The year his mother passes away on May 17(1971), he opened the country’s first print art studio in Hapjung dong, for which he sought printing tools and materials with Kulim Kim and Chanseung Jung. He also made his own pressing machine and invited Sangyoo Kim, Sanguk Lee to teach together, contributing enormously to education of printmaking.
He then concentrated on 3-D and installation art, holding the first personal exhibition (27 September-1st October) at Myungdong gallery in Seoul in 1973 by presenting Interrelation of Forms. It featured cloths, strings, ropes, strips, corrugated cardboards and Korean traditional ‘Dak’ paper, incorporating effect of flatness, the sense of volume and object, and the general physical appearance.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late 60s to the early next decade, the art world of Korea sensitively reacted to different trends, with many self-styled avant-garde artists arguably shifting from their anachronistic Informel painting paradigm towards 3-D, installation, happening and performance art. At this turbulent time, he held a teaching post at Hongik Junior College (September 1973 February 1979).

 

Artist History

1967년 강국진은 김인환, 정찬승, 심선희, 양덕수, 정강자와 함께 ‘신전’ 동인을 새로 결성하고, ‘무’ 동인, ‘오리진’ 동인과 함께 서울의 중앙공보관 화랑에서 ‘청년작가연립전’(12.11-12.16)을 열었다. 그들은 구태의연한 기성 미술계의 반성을 촉구하는 한국 최초의 거리시위를 했고, 한국 최초의 집단 해프닝, <비닐우산과 촛불이 있는 해프닝>을 벌였다. 또한 전시와 관련하여 세미나를 열고 이일, 김훈, 임명진이 '추상 이후 세계의 미술의 동향'을 주제로 발표했다. ‘청년작가연립전’과 세미나를 통해 예술의 새로운 장을 열고자 했던 그들의 태도는 1960년대 후반에도 추상회화가 ‘아방가르드’의 위치를 점유하고 있던 한국현대미술에 새로운 국면을 제시하는 중요한 모멘트였으나, 비교적 최근에야 그 중요성은 인지되기 시작했다.

강국진은 ‘청년작가연립전’에서 테이블 위에 작은 유리병을 쌓아 올린 설치작품 <시각의 즐거움>과 천정으로부터 내려온 끈에 유리병들을 매달은 <오늘의 시각> 그리고 비닐 튜브에 눈의 형상을 만들어 꿰매 붙이고 그 속에 다시 비닐 튜브와 2개의 고무공을 넣은 <바로 오늘>을 발표했다. 현대문명과 산업사회의 산물인 레디메이드 오브제들로 이루어진 그의 설치 작업들은 중첩된 유리병들을 통해 바라보는 시선의 방향과 위치에 따라 변화무쌍하게 변화되는 시각적 현상을 다룬 것이었으며, 유쾌하고 낙천적이면서도 예민한 감수성을 동반하고 있었다.

또한 그는 전시 개막일(12.11)날 퍼포먼스, <색 물을 뿜는 비닐 주머니>를 시연했다. 큰 비닐 튜브 속에 다시 좁고 긴 물감 튜브들을 넣고 막아놓았다가 터뜨리면 색 물들이 뿜어져 나와 흩어지게 하는 퍼포먼스였다. 튜브에서 터져 나오는 색 물들이 섞이며 흩어지는 짧은 시간 동안의 시각적인 현상은 억압에서 해방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고, 정확히 예측할 수 없는 색 물들의 흩어짐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것이기도 했다.

그는 다음 해인 1968년 1월, ‘종합미술대전’에서 한국 최초의 테크놀로지 작품 <시각 Ⅰ, Ⅱ>를 발표했다. 붉은 색과 푸른 색의 형광등이 입방체 모양을 형성하는 그 작품은 강렬한 빛을 뿜어냈으며, 현대의 삶과 미술의 국면이 테크놀로지를 통한 시각을 체험하는 차원으로 변화했음을 보여주었다. 같은 해, 5월에는 강국진과 정찬승이 공동 기획한 집단 퍼포먼스 <색 비닐의 향연>이, 6월에는 <투명풍선과 누드 해프닝>과 <화투놀이>가 서울 세시봉 음악감상실에서 시연되었고, 10월에는 제 1한강교 아래 모래 사장에서 정강자, 정찬승과 함께 문명 비판과 현실 비판의 내용을 담은 <한강변의 타살>이 벌어졌다.

‘청년작가연립전’(1967) 이후 ‘신전’ 멤버들인 강국진과 정찬승, 정강자는 1968년 무렵까지 몇몇 해프닝과 퍼포먼스를 벌였으나, 강국진은 명동에 박종무와 함께 '스페이스 디자이너'(Space Designer)라는 일터를 마련하여 카페의 실내장식, 쇼 윈도우 등을 디자인하는 쪽으로 선회하여 4년간 일했다. 그리고 1971년 9월 17일 어머니가 돌아가신 뒤 마포구 합정동에 국내 최초로 판화교실을 열어 김구림, 정찬승 함께인쇄소를 찾아 다니며 장비를 마련하고 판화 작업을 계속했고 판화 프레스를 조립하여 김상유, 이상욱과 함께 국내에 판화를 보급했다.

그는 다시 입체와 설치 작업들에 전념하여 '형의 상관'이라는 주제로 1973년 명동화랑에서 첫 개인전(9.27-10.1)을 열었다. 천, 노끈, 밧줄, 새끼줄, 골판지, 닥종이 따위의 오브제로 물질 자체의 특성과 장소 및 상황에 따른 인식의 현상을 탐구하는 작업들이었다. 1960년대 말엽에서 1970년대 초엽은 한국 미술계가 민감하게 변화했던 시기로, 1960년대 전반기까지의 앵포르멜 회화의 세대가 소진하고 아방가르드를 자처하는 작가들 중에서도 실험적인 입체와 설치 및 해프닝과 퍼포먼스에 몰두하는 작가들이 난립하던 때였다. 그 무렵 그는 홍익전문대학의 강사로 학생들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1973.9 -1979.2) 

 

The new beginning: 3-D, installation, happening, performance art and print-making /1967-1973

입체와 설치, 해프닝과 퍼포먼스, 판화 작업을 시작하다 / 1967-1973

KUKJIN KAN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