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 & Installation
형의 상관
1972, 가변설치 (흰 광목 천, 로프, 나무), 천 크기 243X148cm, 나무 크기 31x31x31cm, 제1회 ‘앙데팡당전’ (1972) 출품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강국진은 ‘청년작가연립전’에서의 오브제 미술과 퍼포먼스를 시연한 이후, 1970년대 초엽부터 천과 로프 등을 사용하여 사물 자체, 사물과 사물 및 인간과 사물에 대한 상관관계를 보다 깊이 탐구하게 시작했으며 장소의 문제도 중요하게 고려하기 시작했다. 전시장 바닥에 31x31x31cm의 나무토막이 놓여지고 그 위에 흰 광목 천이 덮여 있다. 나무토막으로 인해 불쑥 튀어나온 부분은 굵은 로프로 감겨있다. 바닥에 펼쳐진 흰 광목 천의 ‘평평함’과 로프로 감아 강조된 부분의 ‘돌출됨’이 각각 상이한 ‘형’(形)들을 이룬다. 그러나 강국진은 돌출되어 ‘입체’로 보이는 부분이 ‘평평한’ 광목 천의 연장일 뿐이며, 위상수학적으로 그들은 동일한 ‘형’(形)이라는 것을 주목하는 듯하다. 한국미술협회가 주최했던 제1회 ‘앙데팡당전’은 이우환이 단독 커미셔너로서 파리 비엔날레 등 국제 전시를 겨냥하여 작품을 선정했던 전시였다. 당시는 이우환이 사상적 뿌리를 제공했던 일본의 모노하 (ものは)와 이탈리아의 아르테 포베라 (Arte Povera), 포스트 미니멀 아트 (Post Minimal Art) 및 프랑스의 쉬포르 쉬르파스 (Supports/Surfaces)가 파리 비엔날레에서 첨예하게 만나던 시기였다. 68혁명의 물결과 함께 서구 모더니즘의 환원적 자기분석과 예술 창조의 자기 우상화에 대한 비판이 유럽 전역을 뒤흔들었던 무렵이다. (김미경, 미술사학 박사 / 강남대 교수 / 한국예술연구소KARI 대표)
Interrelation of Forms
1972, Variable installation (white cotton cloth, rope, wood), cloth 243X148cm, wood 31x31x31cm, the 1st ‘Indepandant Exhibition’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Duksu Palace, 1972),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collection
Kang’s participation in the discussion of object art continued as he probed even deeper into the subject, pondering upon the mechanisms and relations of objects as individuals, objects vs. objects and human vs. objects. Locational and spatial matters were also carefully considered, which is self-evident in Kang’s use of ropes and large sheets of cloth. One could find an example of this in Kang’s experience of Japanese Mono-ha (for which Ufan Lee thought up the fulcrum), Arte Povera of Italy, Post Minimal Art and Supports/Surfaces of France, who all encountered each other at Paris Biennale. For Kang’s work consisted of components that enabled to the whole to be considered in the same context as the above art phenomena of different countries. At the first ‘Indepandant’ Exhibition for which Ufan Lee participated as the sole commissioner, Kang’s topological illation in this context was shown by his display of a work that consisted of a sizable wood piece(31x31x31cm) covered with a broad white-cotton cloth. To accentuate the counter paned wood, a rope is used to be wrapped around it to give a comparison between the wood and the sense of flatness of the floor, both of which are covered with the cloth. The configured shape of protrusion tells us that the different outer shapes are only the extensions of the same element – the cloth.This was when the European mannerism in creation of art and reductive analysis of selves came to make their own factions alongside with 1968 revolution that swept the planet. (Mikyung Kim / Professor of Art History at Kangnam University / Director of Korean Art Research Institute)
KUKJIN K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