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Magazine

& Publication

추상-한국상륙 10년만의 ‘추상 이후’
추상회화의 한국상륙이 올해로 꼭 10년을 기록하고 있다고 한다. 10년이면 무엇이 변해도 변해야 할 것이라는 통념 탓만은 아닐 텐데도, 그 10년을 깡그리 뭉개는 ‘추상 이후’의 새로운 미술사조가 때마침 해 저무는 서울거리에 등장하고 있다. 이른바 ‘한국청년작가연립전’

◇ 괴기한 전시장
지난 11일. 일단의 괴기한 행렬이 서울의 세종로에서 경찰과 조그마한 충돌을 하고 있었다.
〃「미니」 차림의 여성을 포함한 10명쯤의 이들 20대의 남녀들은 손에 든 「피케트」를 통해 잘 알아들을 수 없는 몇 가지 주장을 하고 있는 듯이 보였다. 한가지 큰 글씨로 뚜렷이 보이는 것은「청년작가연립전, 중앙공보관서 16일까지, 오십시오, 무료입장」이라고 쓰인 「메인, 피케트」.
그러고 보니 이들은 청년미술가들임에 틀림이 없었다. 「좌상파 국전」이란 구호는 관전에 대한 야무진 공략인가 하면 「국가발전은 적극적 예술진흥책에서」「현대미술관이 없는 한국」등 이른바 「참여의 발언」을 서슴지 않고 있었다.
이밖에 「행동하는 화가」 「생활 속의 작품」 「현대예술은 대중과 친하다」 등 그들의 작품이 걸고 있는 직접적인 주장을 했는가 하면’추상 이후’라는 단 한마디로 획시기의 자부를 하고 있는 듯이 보였다.
전시회장은 세 개의「그룹」이 각각 독방을 차지하고 있는 맘대로의 「연립전」
「오리진」이라고 써있는 제1실에는 신기옥 김수익 서승원 이승조 최명영의 다섯 회원에 의한「캔버스」화만이 진열되어있었다. 마치 전쟁 전에 있었던 기하학적 추상회화를 보는듯한, 이른바 「오프ㆍ아트」경향. 일일이 자와 「콤파스」를 대고 그린 선, 원, 각이 보는 이의 시각을 유쾌하게 하고 있었다.
세 개의 그룹 중 가두 「피케트」에 참가하지 않은 유일한 동일들인 이들은 「캔버스」만으로도 전혀 새로운 미학이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주장을 내세우면서 「대중에게 관람을 강요하기에는 무리를 느낀다」고 겸손해했다. 옆방 제2실은
「무」동인의 전시실, 연통만을 구부려서 넓은 공간을 구성한 「색연통」 실험이라든지 거대한 19공탄과 8각 성냥 통, 변기를 가득 메운 고무장갑의 손가락들 위로 「행잉 ㆍ로프」가 늘어져 있는 것, 백지로 뒤덮여버린 「캔버스」위에 철제 두루마리를 늘어뜨린 것 등 기괴한 인상을 주고 있었다. 게다가 걸려있는 녹음기에서 울려 나오는 「콘크리트 뮤직」. 쇠 깎는 소리에 「셔터」 닫는 소리, 전화소리, 「클랙슨」이 뒤엉키는 「굉음모음곡」이 길을 불편하게 했다. 동인의 이름 최붕현, 김영자, 이태현, 문복철, 진익상, 임 단 등 여섯.
2층에 홀로 떨어진 제3실은 신전동인의 방. 들어서자마자 거대한 입술이 불을 켜고 「키스 미」! 했다. 술장같은 「박스」 위에 얹힌 여자의 두상에는 「안테나」가 마치 더듬이처럼 뻗쳤고 장식된 술병은 오가는 이에게 「말만 잘하면 」한잔씩 제공되고 있었다. 이 밖에도 지우산의 「이미지」를 담은 태극의 분해작업이 공중에서 맴돌고, 병만을 쌓아 올린 기묘한 시각의 꾸밈도 있었다. 이를테면 환경구성에의 참여로서의 미술이랄까. 동인은 강국진 양덕수 정강자 심선희 김인환 정찬승 등 여섯.
「무」와 「신전」은 「오리진」과 달리 서로 비슷한 경향. 현대의 대중문화적 주제에 걸맞는 「포프 ㆍ아트」, 또는 「오브제」예술이 두서없이 종합되었다고도 볼 수 있었다. 한마디로 『캔버스여 안녕!』
◇ 화가들의 연극
14일 하오 5시. 가두 「피케트」 때와 마찬가지로 「무」와 「신전」의 전동인이 한자리에 모여 또 역시 「기괴한 연극」을 하고 있었다.
무대는 전시실. 소도구는 의자 1개, 「비닐」우산 1개, 양초, 휴지, 새끼줄.
먼저 여자 동인 한 사람이 의자에 앉았다. 그녀가 「비닐」 우산을 펴는 것과 동시에 전원이 의자를 중심으로 원을 그렸다. 마치 강강수월래와 같이 움직이는 바퀴는 합창을 시작했다. 곡목은 「새야 새야 파랑새야」. 그런 다음 의자에 앉은 여자의 우산 위에 남녀들이 달려들어 촛불을 꽂았다. 우산을 든 여자는 의자를 내려서 그 둘레를 돌기 시작했다. 남녀들도 그녀를 따라 돌았다. 합창이 다시 시작됐다. 한참을 그렇게 떠든 다음 우산을 든 여자가 다시 의자에 앉자 남녀는 다시 달려들어 촛불을 불어 껐다. 그때. 미친 듯 남녀들은 「비닐」우산을 가련할 만큼 찢어버렸다. 갈기갈기 형태만 남은 우산을 그들은 한꺼번에 달려 붙어 휴지와 새끼줄로 똘똘 감기 시작했다. 도무지 무엇인지 알 수 없는 이 「연극」의 제목은 「비닐우산과 촛불이 있는 해프닝」이라고 했다. 각본에 오광수씨(미술평론가). 「해프닝」이란 그 발생기원을 「액션 페인팅」에 두고 있다. 그린 결과가 중요한 것이 아니고 「그린다고 하는 행위」자체가 더 중요하다는 표현예술인 「액션 페인팅」은 「캔버스」를 벗어난 행위를 여러 가지 물체와의 충돌을 통해 실제로 연출하는 일을 즐겨서 하고 있는 것.
「회화가 3차원으로 전개된 최종형식」이라고 설명되는 「해프닝」은 그런 까닭에 일종「화가들에 의한 연극」이라고 볼 수 있다. 창시자로 손꼽히는 사람은 「알란ㆍ카프로」, 1959년 미국 「루밴」 화랑에서 「6개 부분의 18의 해프닝」이라는 제목으로 최초의 「쇼」를 가졌었다. 현재는 화가뿐이 아니고 음악가, 무대배우, 시인들도 유행처럼 「해프닝」을 시도하고 있다. 신랄한 문명비평의 더 없는 방편인 셈인 「해프닝」은 그것을 보는 관람자가 육체적 심리적 행동으로 직접 참가할 수 있는 공동의 제작행위라는 게 특징적. 「한국청년작가연립전」이 가두 「피케트」를 벌인 것은 우리나라의 예술계가 겪은 최초의 「해프닝」이기도 했다.
◇ ‘추상 이후’의 뜻
「오리진」동인들이 보여주고 있는 단순한 원형들은 이제까지의 추상예술이 보는 이의 「이미지」작용을 강요하던 것과 다르다는 점에서 우선 ‘추상 이후’다. 그것들은 물리적인 사실로 보는 이에게 시각적 반응만 일으킨다. 이들 작품들이 무엇을 뜻하는지. 연상을 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우리작품을「오프 아트」로 규정해 버리는 데는 반대합니다. 우리는 다만 밝고 분명한 형태만을 추구했으니까요.』
홍익대학 64년 졸업생으로 구성된 전위적인 27세, 그 중의 최명영이 한 말. 이들「오리진」동인은 다른 두 「그룹」이 「해프닝」에 도취되어 있을 때「현대미술 세미나르」를 갖고 있었다.
「무」동인들은 홍대 63년 졸업생들을 중심으로 모인 첨단적 「그룹」. 금년 6월에도 「1차 현대미술의 실험」이라는 거창한 「오브제」전을 가진 실적이 있다. 이색적인 것은 「연통」과 「연탄」의 남녀가 동창부부라는 것. 그 밖에도 이들의 실험에 정신적으로 공명해서 나이를 무릅쓰고 참여한 중년외교교관 임 단씨가 있는가 하면 한국유일의「구체음악 작곡가」로 자부하는 24세의 진익상도 끼여있다. 『「캔버스」에의 싫증이지요. 그건 장식에 지나지 못하는 기능만을 갖고 있습니다. 생활 속 에 직접적인 자리를 차지함으로써 환경구성에 참여하자는 것 그것이 전붑니다.』 동인 최붕현씨의 말.

「신전」동인은 홍대 65년 졸업생을 중심으로 모인 가장 나이 어린 「그룹」. 「논꼴」이라는 동인운동을 벌였던 「멤버」가 셋. 여자가 또한 셋이다. 『무동인들과 「오브제」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같습니다. 한가지 특징이라면 좀더 알기 쉽게 꾸민다는 것이지요.』 정찬승의 말인데, 꾸민다는 말마따나 이들은 매일같이 작품에 손질을 한다. 마치 안방의 장롱을 옮겨 놓는 대로 방의 분위기가 달라지는 것과 같은 이치.
본래 영국에서 발생했다가 60년대의 미국에서 「포플러」해진 「포플러 아트」, 약칭 「포프」는 기술과 「매스 미디어」에 의한 대중문화 가운데서 추출한 시각적 요소에서 조형적 가치를 발굴한 것. 주로 이용되는 「미디엄」은 담배, 권총, 스푼, 구두, 칫솔 등의 일상용품을 비롯하여 「가툰」, 서부극 사진, 신문광고 등 가지각색이다. 「오브제」예술의 고향은 「다다이즘」. 「마르셀 뒤상」은 「샘」이라는 제목에서 변기를 들고 나왔고 「L.H.O.O.Q」라는 묘한 제목의 그림은 「다빈치」의 「모나리자」복사화에 수염을 단 것이었다. 이러한 「다다」의 「오브제」가 다분히 부정적인 것이었다면 오늘의 그것은 반대로 긍정적인데 특징이 있다. 우리가 흔히 보면 기물들의 위치, 상황이 다른 곳에 옮겨졌을 때 전혀 새로운 존재로 된다는 것이 「오브제」예술의 골자.

「무」와 「신전」의 두 동인은 이러한 「포프」와 「오브제」를 그대로 수용하면서 「전시장 전체가 보는 사람들까지를 포함하여 하나의 환경이 되고 작품이 될 수 있다」고 할 만큼 그들 나름으로 변용되어있는 것처럼 보인다.

◇ 미술사의「이벤트」
「연립전」에 관한 관심이 어느 화전때 보다도 「저널리스틱」하게 고조되어 있는 게 사실이면서도 이들의 실험이 걸고 있는 「비전」에 대단한 평가를 보내는 이들 또한 많다. 평론가 이 일씨는 「이제까지 있어온 추상에 대한 반동이며 세계적 물결을 탄 것이다. 추상일변도였던 전위운동을 박찼다는 점에서, 개개인의 작품의 옳고 그름을 평가하기 이전에 우리나라 미술사에 새로운 전망을 터주었다.』」고 높이 평가했다.
「『이것이 예술이냐 아니냐를 떠나서 세계의 새로운 미학을 우리의 젊은이들이「의식」했다는 점에서만도 그 용기를 사주어야 한다」』는 것은 평론가 이규열씨의 말. 『금년도 뿐이 아닌 현대미술사의 한 이벤트로 주목 할만 하다』고도 덧붙였다.
평론가 오광수씨는 「해프닝」의 각본까지 짜주었을 만큼 열정적. 『「추상화 10년을 마감하는 새로운 미술사의「모멘트」라고 거침없이 말했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생활하는 미술, 환경을 조성하는 미술』에 있다고---」
평론가 석도륜씨는 『저쪽의 것의 미숙한 이식』이었다고 말했다. 대중에게 접근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조용한 감성으로』되어야 하지 않겠느냐는 견해. 그러나 「에포크」적 평가만은 다른 이들과 의견을 같이했다.
이런저런 평가는 어쨌든 「한국청년작가연립전」은 16일 하오, 마지막「해프닝」으로 끝나게 되었다. 그들은 이날도, 어쩌면 전시작품의 파괴를 포함하는 또 하나의 실험을 보일 것이다.  

◇ 사진 〓 한국추상화 10년에서 탈출하려는 청년작가 ―단이 희한한 「오브제」예술을 실연하고 있다. 원색칠한 「스토브. 파이프」(색연통 888) 커다란 입술(키스 미), 고무장갑이 가득 찬 변기(갑 1) 등의 작품이 67년의 세모거리에 화제를 뿌리고 있다. (중앙공보관 전시장서 유호석 기자 찍음) 

67 화제작*

주간한국  1967.12.17

KUKJIN KAN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