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Object & Installation

1975, 300x150cm, 광목 천, 제2회 ‘대구현대미술제’

 

느슨하게 주름이 잡힌 광목 천이 벽에 걸려있다. 그것은 회화인지, 조각인지, 아니면 그 어떤 다른 사물인지 정체를 알 수 없는 ‘예술’이다. 1960년대 말엽부터 1970년대 무렵, 일본의 모노하 열풍은 1960년대 난무하던 일본의 실험미술 집단들을 일시에 평정하고 일본의 대표적인 국민미술로 떠올랐다. 그 이론적 지주가 이우환이었다. 다카마츠 지로(高松次朗), 이누마키 겐지(抱券賢二), 에노쿠라 코지(榎倉康二), 코미시즈 스스무(小淸水漸) 등 많은 모노하 작가들이 일본 화지를 이용하여 평면성과 사물성의 문제를 탐구하고, 회화와 조각의 경계를 넘는 예술로서의 ‘사물’(모노) 자체의 특성과 사물들간의 관계를 모색했고, 당시 모노하의 사상을 국내 미술계에 알렸던 이우환의 사상적 영향력은 매우 컸다. 강국진은 ‘형’, 혹은 ‘형태’라는 말 대신 ‘꼴’이라는 순 우리말을 사용하면서, 회화와 조각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새로운 예술로서의 ‘사물’에 대해 모색하며, Ufan Lee의 사상 및 새로운 세계의 예술적 패러다임을 공유하고 있었다. (김미경, 미술사학 박사 / 강남대 교수 / 한국예술연구소KARI 대표) 

Shape

1975, 300x150cm, cotton cloth, the 2nd ‘Daegu Contemporary Art Festival’, Daegu, Korea

 

A loosely furrowed white cotton cloth is hung on the wall. It is an ‘art’ that does not have a clear distinctive identity, be it painting, sculpture or just some ‘object’. The advent of thoughts of Mono-ha rose to the perch of national art, quelling the boisterous Japanese experimental scene from the late 60s to the early 70s. The theoretical principals were cultivated by Ufan Lee whose influence was more than just enormous as Japanese artists (and subsequently Korean) such as Jiro Takamatsu, kenji Inumaki, Koji Enokura, and Susumu Koshimizu released various types of investigation on flatness and objecthood, and their interrelations using Japanese painting papers. These artists also closely examined the outcome of blurring of cognitive border between, painting and sculpting. Kang, on this very subject of discussion, used an unadulterated Korean term ‘Ggol’ to represent what Lee regarded as ‘formative or shape’ in his effort to share the artistic paradigm of Lee. (Mikyung Kim / Professor of Art History at Kangnam University / Director of Korean Art Research Institute)

KUKJIN KANG

bottom of page